본문 바로가기
일상

대한적십자사 헌혈종류와 조건, 소요시간, 주기와 헌혈사은품

by 스카이바나나 2023. 4. 19.

헌혈은 자신의 피를 기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혈이 필수적인 수술실이나 의료 연구 목적으로 피가 필요한 경우 기부된 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한적십자사의 헌혈종류와 조건, 소요시간, 주기와 헌혈사은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적십자사 헌혈종류와 조건, 소요시간, 주기와 헌혈사은품
대한적십자사 헌혈종류와 조건, 소요시간, 주기와 헌혈사은품

 

1. 헌혈종류와 헌혈조건

한국에서는 대한적십자사를 통해서 헌혈을 할 수 있습니다. 헌혈에는 전혈과 성분 헌혈이 있는데 전혈은 피를 전체적으로 모두 다 뽑는 것을 의미하는 whole blood 입니다. 이에 반해 성분 헌혈은 피 속에 있는 일부 성분만을 특정해서 뽑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우리 나라에서는 혈장, 혈소판으로 성분 헌혈이 가능합니다.

헌혈조건은 어찌보면 간단합니다. 건강한 상태의 피를 뽑는게 가장 중요하니 기본적인 몸의 상태가 좋아야 헌혈이 가능하겠지요. 헌혈이 가능한 나이, 혈압, 몸무게 등을 기본적으로 확인 후 철분수치 확인하게 되는데 보통 이 철분수치가 낮아서 헌혈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헌혈을 하면 일정한 시간이 지나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피가 생성되지만 그 동안 빠져나간 피 속의 철분 때문에 몸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혈색소를 확인하여 체내의 철분수치가 충분한지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2. 헌혈소요시간과 헌혈주기

헌혈의 종류에 따라 헌혈소요시간과 헌혈주기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 부분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전혈의 경우 피를 전체적으로 모두 뽑다보니 30분 정도면 헌혈 전 문진과 직접적인 헌혈, 휴식까지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헌혈양이 많고 그에 따라 몸에 무리도 많이 가게 됩니다. 따라서 전혈 헌혈 후에는 8주 간의 기간이 지난 후 그 다음 헌혈이 가능합니다. 

성분 헌혈의 경우 일차적으로 피를 전체적으로 뽑고, 그 피를 기계에서 혈장, 혈소판 등으로 분리한 후 다시 헌혈자의 몸에 돌려주게 됩니다. 그만큼 시간이 많이 걸리겠지요? 성분헌혈 소요시간은 약 한시간입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거에 반해서 일부만 채혈하므로 전혈에 비해서는 몸에 무리가 덜 가게 되겠지요. 따라서 성분 헌혈 후 2주가 경과하면 다음 헌혈이 가능합니다. 

헌혈 주기는 정해져있지만 대한적십자사에서 전혈과 성분헌혈의 연간 가능 횟수를 정해두었습니다. 아무래도 피를 뽑는 것이 몸에 무리는 가겠지요. 전혈은 연 5회, 성분헌혈은 연 24회에 한해 가능하다는 점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3. 헌혈사은품은 편의점교환권

헌혈 후 편의점교환권 5천원권 2매를 받았네요. CU와 이마트24 모바일 상품권으로 교환이 가능한 편의점 교환권이며 이는 헌혈의 집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합니다. 이렇게 교환한 모바일 편의점 상품권은 담배, 주류, 로또, 기프트카드, 상품권, 쓰레기봉투, 교통카드는 구매가 불가능하다고 하니 참고바랍니다. 편의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통신사 할인이나 행사상품 구매도 중복 적용이 가능하니 현명한 소비하시기 바랍니다.

 

 

댓글